Skip to content

Commit 4c18c51

Browse files
committed
1 parent 450d70f commit 4c18c51

File tree

1 file changed

+7
-7
lines changed

1 file changed

+7
-7
lines changed

content/docs/faq-ajax.md

Lines changed: 7 additions & 7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6,17 +6,17 @@ layout: docs
66
category: FAQ
77
---
88

9-
### 어떻게 AJAX 호출을 만들 수 있을까요? {#how-can-i-make-an-ajax-call}
9+
### 어떻게 AJAX 호출을 수 있을까요? {#how-can-i-make-an-ajax-call}
1010

11-
당신이 좋아하는 AJAX 라이브러리들을 React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유명한 라이브러리로는 [Axios](https://github.com/axios/axios), [jQuery AJAX](https://api.jquery.com/jQuery.ajax/), 그리고 브라우저에 내장된 [window.fetch](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API/Fetch_API) 등이 있습니다.
11+
당신이 선호하는 AJAX 라이브러리를 React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유명한 라이브러리로는 [Axios](https://github.com/axios/axios), [jQuery AJAX](https://api.jquery.com/jQuery.ajax/), 그리고 브라우저에 내장된 [window.fetch](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API/Fetch_API) 등이 있습니다.
1212

13-
###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중 어느 부분에서 AJAX 호출을 만들 수 있나요? {#where-in-the-component-lifecycle-should-i-make-an-ajax-call}
13+
###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중 어디에서 AJAX 호출을 수 있나요? {#where-in-the-component-lifecycle-should-i-make-an-ajax-call}
1414

15-
AJAX 호출을 통한 데이터는 생명주기 메서드 중 [`componentDidMount`](/docs/react-component.html#mounting) 안에 채워져야 합니다. 이는 데이터를 받아 올 때 `setState`를 통하여 컴포넌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함입니다.
15+
AJAX 호출을 통한 데이터는 생명주기 메서드 중 [`componentDidMount`](/docs/react-component.html#mounting) 안에 추가되어야 합니다. 이는 데이터를 받아 올 때 `setState`를 통하여 컴포넌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함입니다.
1616

1717
### 예시: 로컬 스테이트(state)를 설정하기 위해 AJAX 결과 사용하기 {#example-using-ajax-results-to-set-local-state}
1818

19-
아래 컴포넌트는 로컬 컴포넌트의 스테이트를 채우기 위하여 `componentDidMount` 안에서 어떻게 AJAX 호출을 만드는지 보여 줍니다.
19+
아래 컴포넌트는 로컬 컴포넌트의 state를 채우기 위하여 `componentDidMount` 안에서 어떻게 AJAX 호출을 만드는지 보여 줍니다.
2020

2121
API 예시는 다음과 같은 JSON 객체를 반환합니다.
2222

@@ -50,8 +50,8 @@ class MyComponent extends React.Component {
5050
items: result.items
5151
});
5252
},
53-
// 주의: 컴포넌트들의 실제 버그로부터 오는 예외사항들을 넘기지 않도록
54-
// 에러들을 catch() 블록(block)에서 처리하기보다는
53+
// 주의: 컴포넌트의 실제 버그에서 발생하는 예외사항들을 넘기지 않도록
54+
// 에러를 catch() 블록(block)에서 처리하기보다는
5555
// 이 부분에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5656
(error) => {
5757
this.setState({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